본문 바로가기
수능/수능 수기

[수능 수기] 오르비 60일 문과 기적 수기 9월 평가원 5등급이 수능 2등급 맞고 건동홍(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합격

by COCOTEA 2021. 8. 1.
반응형

 

수능수기 중 엄청난 레전드로 뽑히는 문과 60일 기적 수기입니다. 고3 현역인지 재수생 이상의 N수생인지는 모르겠지만 9월 모의고사까지 문과 5등급이 나왔던 수험생이 불과 2개월, 60일 만에 수능에서 올 2등급 (정확히는 국어 2, 수학 3, 영어 1, 사회탐구 2, 3등급, 제2외국어 4등급)을 맞고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중 한 군데 문과 대학을 입학했다고 하지요. 진짜 전설의 수기라 할만합니다. 수능 디데이가 80일, 70일, 60일이 남더라도 열심히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수능 60일 기적 수기, 9평 5등급이 2016 수능에서 2등급 맞고 건동홍 합격한 수기


안녕하세요. 늘 눈팅만 하다가 처음으로 글을 작성해봅니다.

저는 작년에 9평에서 58444등급을 받고 충격을 받은 뒤, 60일 동안 벼락치기를 해서 정시로 건동홍에 합격했습니다. 수만휘, 오르비에 올리기에는 많이 부족하고 민망한 성적이지만 그래도 60일간 벼락치기를 한 방법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아 참고로 문과입니다.) 
 


<국어 : 16 수능 91점 2등급>


기출은 하나도 안 풀어봤습니다. (16년도 6,9평 제외)
대신 실모를 왕창 사서 매일 1회씩 풀고 그 피드백을 기록했는데, 피드백 시간이 거의 1시간 전후가 소요되었습니다.
그리고 수능 당일까지 그 피드백들을 달달 보면서 이미지 트레이닝을 했죠.
각 파트별 공부법을 적어보면요.
 
1) 문법 (언어와 매체, 언매)
: 개념은 한 번도 공부를 못했고요. 매일 실무를 풀면서 틀린 문제들만 정리하는 식으로 했습니다.
 
2) 비문학 (독서)
: 실무에서 매일 3,4 지문씩 푼 것 말고는 공부를 아예 안 했어요.
  그나마도 실무를 푼 다음에 틀린 문제조차 다시 한번 안 보고 그냥 버렸어요.
  (비문학은 오답노트를 하려고 해도 실력이 느는 느낌이 잘 안 들어서...)
 
3) 문학
: 유일하게 공부한 게 문학인데요. 기출은 아예 안 봤고요. 연계 작품만 달달 공부했어요.
  EBS 강의로 연계 작품 1바퀴를 돌리는데, 이것만 해도 빠듯하더라고요.
  그다음에 필기해놓은걸 훑는 식으로 2회독하고, 시험 전날에 3회독하면서 중요한 작품만 찢어가고.
  시험 당일 아침에 그 찢어놓은걸 보면서 4회독했어요. 도움 정말 많이 되었습니다. (고공답주 인가 적중.)
 
4) 화작 (화법과 작문)
: 공부 x. 실모 푼 게 전부.
 
실모 풀면서 피드백한 게 도움이 정말 많이 되었어요.
저는 "문학→화작문→비문학"으로 풀었는데요. (이것도 피드백을 통해 나온 거..)
제 전략을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문학, 화작문은 다 맞자." "비문학은 최대한 풀고 잘 찍자."였습니다.
 
실모를 풀 때, 마지막 과학지문을 남긴 상태에서 시간이 많이 남으면 15분, 적게 남으면 3,4분이 남더라고요.
그런데 3,4분은 당연한데, 15분이 남았을 때조차도 과학지문은 뭔 소린지 하나도 모르겠더라고요...
반복된 실모를 통해서 저는 "아, 나는 수능 때 과학지문을 풀 자신이 없다."를 확신했습니다.
그래서 과학지문은 실모때부터 수능 때까지 아예 읽지도 않고 바로 답 개수가 가장 적은 거로 찍었고요.
대신 그만큼 남는 시간을 가지고 다른 문제들을 여유롭게 풀었습니다.
 
저도 제대로 공부하지 못한 것들은 아쉽지만, 60일 남은 상황에서 58444가 전과목을 공부하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수학 나형 : 3등급>

(2022수능 기준 문이과 수학 통합)


8등급에서 60일 만에 3등급을 받는 것은 문과이기에나 가능했을 일입니다. 
수특 안 풀었고요. 기출 안 풀었고요. 푼 문제가 없네요.
수능 일주일 전에야 비로소 수능 전범위의 개념을 1회독했습니다.
그런데 복습을 안 하면 간신히 1회독 한 개념들이 휘발적으로 날아갈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남은 일주일 동안 개념만 그냥 2회독 3회독 반복해서 복습했습니다.
미분이 접선의 기울기라는 것도 수능 3일 전에서야 비로소 이해했습니다.

 

<영어 : 16 수능 94점 1등급>


사실상 영어 덕분에 대학을 간 거죠. 공부도 영어에 시간을 가장 많이 투자했습니다.
두 달 동안 했던 영어공부를 적어보자면
 
-조인성 닮은 쌤(언급하면 안 되죠? 잘 몰라서..)의 첫 번째 교재 체화
-조인성 닮은 선생님의 교재 내용대로 ebs지문 100개 정도만 분석 (지문 구조를 눈에 익히기 위해서...)
-경선식 무한반복 (정말 말 그대로 무한 반복했습니다... 토 나올 정도로...)
-수능 5일 전에 조인성닮은쌤 ebs선별 지문 1회독
(풀지는 x 눈에 지문을 익히는 식으로 o)
-수능 직전에 조인성쌤 실모 3회분
 
딱 이것까지 하니깐 두 달이 지나갔습니다.
 
조인성 닮은 선생님에 대해선 게시글을 하나 더 따로 써야 될 정도로 큰 도움을 많이 받았고요.
경선식도 벼락치기에는 정말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진짜 경선식은 10회독도 더 한 것 같습니다. 제가 끈기가 부족해서 단어장을 Day3이상 나가본 적이 없는데, 10회독이나 한 것도 경선식이기에 가능했던 것 같네요. (일단 공부한다는 느낌이 안 드니깐...)
 
실모 3회분을 제외하면, 수능 전까지 영어 문제를 직접 풀어본 건 단 한 문제도 없습니다.
맨 처음에 조인성 선생님 강의를 체화한 다음에, 지문에 적용해보려고 수특 100 지문 정도를 일일이 분석했는데, 그것도 그냥 바로 답 보고 분석을 했었고요. (시간이 없어서...)
수능 5일 전에, 최소한 ebs 선별 지문이라도 다 보고 가야겠다 싶어서 조인성쌤이 선별한 200 지문 정도 되는 걸 공부했는데요. 
그때도 시간이 워낙 없어서 바로 답 보고 눈에 익혔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연계효과를 두둑이 봤다고 생각하는데요. 수능 5일 전에 시작했던 조인성쌤 200지문이 특히 큰 도움 되었습니다. 저는 그 200지문을 한 지문당 1분 30초씩 잡고 (실제로 초시계로 셈.) 눈에 그냥 힘빡주고 마구잡이로 집어넣었는데요.

1. 먼저 그 지문의 한글 해석부터 본다. (주제 및 흐름 파악) 
2. 그 지문의 영어 한 문장을 보고 한글 해석을 보고, 다음 문장을 보고 한글 해석을 보고... 이렇게 그 지문을 한번 본다. (각 문장들을 수능 때 "기억"해내기 위해.)
3. 한글 해석 없이 그 지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 본다. (2번, 3번 과정을 통해 총 2회독을 한 셈.)
 
이렇게 벼락치기했습니다. 200 지문은 그냥 말 그대로 수능장에서 "기억"해내기 위한 방식으로 눈에 집어넣었어요.
큰 도움받았던 것 같습니다.

 

<사회탐구영역 : (선택) 한국사 2등급, 법과 정치 3등급>

 

따로 수기 내용은 없으며 일반적으로 사회탐구라 하면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한국지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건동홍 기적수기의 주인공은 (선택) 한국사와 법과 정치를 선택했습니다. (2022 수능 기준 한국사는 사회탐구영역에서 삭제되어, 한국사 절대평가, 필수과목으로 전환 되었으며 법과정치는 정치와 법 과목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제2외국어영역 : 기초베트남어 4등급>

 

기초베트남어는 2022수능 기준 베트남어1로 개편되었으며, 2022수능 이후로 제2외국어영역이 한국사처럼 절대평가가 되면서 사회탐구로 대체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서울대학교 문과 정시에서는 필수죠)

 

수능 60일 건동홍 기적수기 9월 평가원, 수능 성적표 인증

 

9월 평가원 58444의 수능 노베이스가 독학으로 두 달 만에 건동홍을 합격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60일 동안은 매일 밤 12시에 잠들어버려서(체력을 모두 소진해가지고...) 6시에 기계적으로 깬 다음 단 1초도 안 쉬고 공부만 하다가 다시 12시에 잠드는 하루를 보냈습니다. 살면서 한 공부보다 더 많은 양을 60일 안에 했던 것 같습니다. (그만큼 공부를 안 해왔었던...) 어딘가에 그 경험을 기록해두고 싶어서 오르비에 이렇게 적어봅니다.

 

 

(출처 : 오르비 수능 60일 기적수기, 현재는 원본글이 삭제되었음)

반응형